빛은 어둠 속에서 가장 처절하게 반짝인다. 
존재를 부정당하는 현실 속에서 우리는 의지할 수 있는 빛의 조각을 찾아 허공에 손을 뻗는다. 
그러나 손끝은 늘 허공을 쓸 뿐, 길은 더욱 깜깜해진다.

Light flickers most desperately in the depths of darkness.
In a reality that relentlessly denies existence, we reach into the void for a shard of light to lean on.
Yet our fingertips graze only emptiness, and the path grows ever darker.


길을 잃은 인간은 보이지 않는 것을 사물에 새기고, 그 믿음을 신전과 고딕의 첨탑, 낡은 창호에 머물게 했다.
스테인드글라스는 그 믿음의 결정을 성전 안에 묶어둔 흔적이다.

The lost carve the unseen into objects, anchoring belief within temples, Gothic spires, and weathered window frames.
Stained glass remains as a crystallized trace of that faith, bound within sanctuaries.


본 작업에서 관객은 빛의 반영을 통해 창의 존재를 추적한다. 
그러나 디지털의 가공된 빛과 허상 속에서, 이 창이 실제였는지 혹은 가상이었는지 무엇으로 증명할 것인가.

In this work, the viewer traces the presence of the window through the reflection of light. Yet within the fabricated light and illusions of the digital realm, how can one prove whether this window was ever real or merely imagined?



《정녕_Stained》은 실체와 허상을 가르는 틈에서, 믿음의 경계를 붙잡고 사라지는 빛을 담는다.

《정녕_Stained》 captures light that clings to the border between the tangible and the illusory, holding fast to the limits of belief before it vanishes again.




Exhibition

2019 -  《전지적 창견시점》, 안양, OPEN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