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2531_430824523651602_2000585897_n_(1)(0001).jpg
Jean9 Bike

누구에게나 버려지게 된 이유가 있다.
버려진 청바지와 버려진 자전거의 re:born
작가노트
S.M. #001 (2008년 여름, 부츠컷) : 시간의 흔적 — 섬유 마모로 인해 해져서 착용 불가
J.R. #002 (2012년 여름, 스키니) : 신체의 축소 변수 — 신체 사이즈 변화로 인해 작아서 착용 불가
F.G. #003 (2010년 가을, 카고) : 성장의 기록 — 성장에 따른 사이즈 변화로 작아져서 착용 불가
G.F. #004 (2010년 겨울, 스키니 어두운 색) : 치환의 욕망 — 새 옷이 생기면서 기존 제품 대체
N.D. #005 (2011년 봄, 일자 밝은 색) : 영구적 훼손 — 얼룩이 지워지지 않아 기능 상실
K.P. #006 (2007년 봄, 부츠컷) : 가치 전복 — 스타일(유행)이 변하여 선호도 하락
C.E. #007 - #009 (2009년 – 2011년, 일자, 통, 부츠컷 총 3벌) : 신체의 확장 변수 — 신체 사이즈 변화로 인해 커져서 착용 불가

이 프로젝트는 일곱 명의 사람에게서 수집한 아홉 벌의 청바지로부터 시작됐다.
각 옷에는 시간의 흐름, 신체의 변화, 유행의 이동 같은 개인의 흔적이 남아 있었다.
그 옷들이 더 이상 입히지 않게 된 이유들,그 모든 ‘버려진 이유’는 결국 누군가의 삶과 감정이 멀어지는 과정이었다.

나는 이 ‘이유’들이 단순히 기능의 상실이나 외적 변화로만 보이지 않았다.
그 안에는 사랑이 멀어지는 순간들이 있었고, 또 우리가 ‘쓸모’라는 기준으로 관계를 재단하며 살아가야 하는 사회의 질서가 숨어 있었다.
그래서 ‘버려진 이유’는 나에게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사랑의 위계이자 쓸모의 질서처럼 느껴졌다.

나는 아홉 벌의 청바지를 해체하고, 그 조각들을 하나의 자전거 위에 다시 엮었다.
차가운 금속의 몸 위에 따뜻한 천의 피부를 입히는 행위 그건 단순한 조형이 아니라, 버려진 존재에게 온기를 돌려주는 의식 같은 일이었다.
그렇게 완성된 Jean9 Bike는 소유와 소비의 경계를 넘어, 버려진 것들의 고백을 품고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제 이 자전거는 더 이상 이동의 도구가 아니라, 사랑의 흔적이 다시 달리는 하나의 매개체가 되었다.

“무엇이 진정으로 소유되고, 어떻게 사랑받을 수 있는가.”
이 질문은 물건에 대한 것이 아니라, 관계와 존재, 그리고 내가 살아가는 세계의 구조에 대한 질문이었다.
이 작업은 스무 살이던 내가 세상과 맺은 첫 대화이자, 버려진 모든 존재에게 전하고 싶은 조용하지만 단단한 자존감의 선언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지금도 여전히 나를 지탱하고 있는‘함께 나아갈 용기’에 대한 메세지다.

Exhibition

2012  - 《버려진 것들의 새로운 이야기》, 통의동, 갤러리 꿈

_DSC3592_1.JPG
_DSC3594_1.JPG
_DSC3595_1.JPG
_DSC3596_1.JPG
_DSC3601_1.JPG
_DSC3604_1.JPG
_DSC3605_1.JPG
552318_430824433651611_788893383_n.jpg
버려진 것들의 새로운 이야기 ‘자전거 리본(RE:BORN)’의 전시가
10월20일(토)부터 31일(수)까지 12일간 서울시 종로구 통의동 ‘갤러리 꿈’ (통의동 91-19)에서 전시되었다.

계원예술대학교 재학생과 졸업생들이 함께 준비한 전시회는 자전거 10대가 메인 테마다.
이들은 버려진 자전거를 직접 수리하고 재활용해 저마다의 이야기를 담아 새롭게 디자인해 선보였다.

버려진 것들에 새 생명을 불어넣어 재활용하는 의미를 담은 전시는
단순히 자전거 리본(re:born)을 넘어 작가 개개인의 색깔과 개성을 담아 사소한 것,
그리고 우리의 무관심에 쉽게 버려지고 잊혀가는 것들을 돌아보게끔 하는 메시지를 담았다.

‘갤러리 꿈’에서 열렸던 전시에서는 자전거 외에도
설치, 사진, 영상, 그리고 관람객들과 소통할 수 있는 다수의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 되었다.

작가들은 전시를 통해 결과물을 보여주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잊혀가는 것들, 버려진 것들에 대한 가치를 되살리는(reborn) 것에 의미를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