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logue

1970년대에 준공된 아파트에서 약 20년동안 재건축 이슈를 마치 공기처럼 여기며 살아온 일상이 이 작업의 출발점이다.
재개발은 한 사람에게 삶의 터전이 바뀌는 굉장히 큰 사건이자 가장 극단의 수동적 체험이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자발적인 선택에 의한 공간을 갖추기 위해 건축을 공부하게 되었고,
막연하게 느껴왔던 일상 속 문제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2016년, 건축가 윤경숙, 차주협과 함께 문화예술단체 '골목길' 활동을 하며 안양 구도심을 답사하고
기록했던 경험이 현재 프로젝트의 직접적 계기가 되었다.
지역 곳곳을 답사하고 기록하면서 자연스럽게 도시형태에 대한 관심이 깊어졌고, 구도심의 실체를 기록하는 일에 매료되었다.

이러한 활동을 기반으로 2017년 지역 청년들이 결성한 문화예술 플랫폼 '주밍안양'에 합류하여
'구의 도시'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첫 사진 연재를 시작했다.

작업의 분류와 가시화를 위해 그라폴리오에 연재를 시작했고, 2018 네이버 그라폴리오 사진창작지원 프로젝트 선정을 통해
본격적으로 프로젝트의 골격이 구체화되었다.

2019년에는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APAP6 - 공생도시〉의 지역 초대작가로 선정되어 안양예술공원에서 전시되었다.

구도심을 촬영하는 일은 특별한 연출 없이, 그저 일상적으로 경유하는 생활 반경을 따라 트레이싱하는 일이다.
도시가 마주한 한순간의 풍경, 그 자체의 정직한 기록이자 증언이다.

하지만 그렇게 기록된 구도심의 사진은 '늘 곁에 있던 존재'라는 일상의 틈에 균열을 만든다.
그 균열은 재개발이라는 현실에서 비롯된다.
늘 곁에 있을 것만 같던 구도심은, 재건축과 재개발을 통해 당연하지 않은, 사라지는 존재로 변해간다.

'구의 도시' 프로젝트는 익숙했던 건축물둘을 다시 바라보게하고, 그 안에서 우리의 기억과 시간을 되새기게 만든다.
Exhibition

2019 -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 APAP6-공생도시 >


Award

2018 - 네이버 사진창작지원 프로젝트 선정
#2018
비산2동 비산시장 일대 재개발

1999년,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해 비산 2동의 미륭아파트로 이사를 왔다. 그때부터 비산시장 일대는 내 어린 시절의 놀이터였다.
깡통차기를 하던 삼거리, 숨바꼭질하던 낡은 건물 뒤편, 등굣길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친구들과 넘었던 낮은 담장까지.
골목마다 하나씩 추억이 놓여 있었다.

2018년, 비산시장 일대가 재개발된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런데 내가 살던 미륭아파트는 재개발에서 제외되었다.

2025년, 마침내 미륭아파트에도 재개발 소식이 들려왔다.


주밍안양_구의_도시_안양_비산_2동_재개발_지역_건축사진작가_김종구_1.JPG
#2017
비산1동 임곡마을 초입 재개발

1993년, 비산 1동 임곡마을의 골목과 언덕배기 집들 사이에서 태어나 자라 1999년 비산 2동 미륭아파트로 이사했다.

2006년, 임곡중학교에 입학하며 다시 그곳을 오가기 시작했다. 
학교로 향하는 길은 유년기의 풍경과 겹쳐졌고, 어렴풋하게 남아있던 그 골목이 다시 놀이터가 되었다.

2017년, 임곡마을이 재개발에 들어갔다. 초입부터 하나씩 허물어져가던 집들과 사라진 골목들.
더 이상 돌아갈 수 없게 되었지만 기억은 여전히 그 초입 어딘가에 남아 있다.
주밍안양_구의도시_건축사진작가_김종구_비산_1동_임곡마을_재개발_지역_2-16.JPG